티스토리 뷰

말레비치는 절대주의 <검은 사각형>으로 알려진 러시아의 화가로 추상예술의 개척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말레비치는 추상예술의 개척자로서, 절대주의라는 용어와 개념을 창안하고, 검은 사각형이라는 작품으로 예술사에 큰 자취를 남겼습니다. 말레비치는 회화의 본질을 탐구하고, 대상 없는 순수한 감성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말레비치의 작품들은 색채와 형태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흰색 바탕은 무한한 공간을 상징합니다. 말레비치는 또한 무대 디자인, 의상 디자인, 데생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동했습니다. 초반 러시아의 아방가르드 예술을 이끌었던 화가 카지미르 말레비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말레비치의 절대주의 <검은 사각형>,예술적 위치와 업적

 

말레비치는 1878년 키예프에서 출생했습니다. 그의 본명은 카지미르 세베리노비치 말레비치(Kazimir Severinovich Malevich)입니다. 그는 인상파, 포비즘, 퀴비즘 등 다양한 미술 운동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1915년, 그는 쉬프레마티즘(Suprematism)이라는 새로운 예술 운동을 선언했습니다. 쉬프레마티즘은 기하학적인 도형과 단순한 색채로 구성된 추상적인 회화를 통해 순수한 감각과 정신적인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말레비치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검은 정사각형(Black Square)입니다. 이 작품은 하얀 바탕에 검은색 정사각형 하나만 그린 것으로, 모든 대상과 형태를 배제한 절대적인 미학을 나타냅니다. 말레비치는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러시아의 여러 미술 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했습니다. 그는 또한 무대 디자인, 의상 디자인, 실용미술 등 다른 예술 분야에도 참여했습니다.
말레비치는 1935년 레닌그라드에서 사망했습니다. 그의 작품과 이론은 추상미술의 역사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현대미술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말레비치의 생애와 작품 세계

 

말레비치는 1879년 우크라이나의 키예프에서 출생하여 러시아의 화가로 활동했습니다. 그는 인상파, 포비즘, 퀴비즘 등의 서양 미술에 영향을 받았으며,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주요 인물로서 쉬프레마티슴이라는 추상미술 이론과 실천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1935년 레닌그라드에서 사망했습니다. 말레비치의 작품 세계는 크게 다음과 같은 시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청색시대
(Blue Period: 1912~1914)

말레비치는 1912년부터 1914년까지 청색시대(Blue Period)라고 불리는 시기를 거쳤습니다. 이 시기는 말레비치가 기하학적인 형태와 색채로 인간과 자연의 모습을 재구성한 시기입니다. 그는 파란색과 회색을 주로 사용하여 우울하고 음산한 분위기를 연출했습니다.
말레비치가 왜 파란색과 회색을 주로 사용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습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말레비치가 당시의 러시아 사회에서 겪었던 억압과 고통, 그리고 제1차 세계대전의 참상을 반영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다른 연구자들은 말레비치가 파란색과 회색을 통해 순수한 감각과 정신적인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다고 주장합니다. 또 다른 연구자들은 말레비치가 파란색과 회색을 통해 자신의 예술적인 독립성과 자유를 강조하고자 했다고 주장합니다.
이 시기에 그는 주로 파란색과 회색을 사용하여 우울하고 음산한 분위기를 연출한 작품들을 그렸습니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자화상> (Self-portrait, 1912), <농부> (The Woodcutter, 1912), <꽃잎> (Petal, 1913), <철도원> (The Railwayman, 1913) 등이 있습니다.

① 자화상 (Self-portrait, 1912)

이 작품은 말레비치가 자신의 얼굴을 파란색과 회색으로 구성된 다각형으로 나누어 표현한 것입니다. 그는 눈과 입을 강조하고 코와 귀를 생략하여 자신의 정체성과 감정을 드러냅니다. 그의 시선은 바깥으로 향하지 않고 내면으로 깊이 들어가 있습니다.

② 농부 (The Woodcutter, 1912)

이 작품은 말레비치가 농부의 몸과 도구를 파란색과 회색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형태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그는 농부의 움직임과 힘을 강조하고, 배경과 대조되게 하여 농부의 존재감을 부각했습니다. 그는 또한 농부의 얼굴을 감추어 농부의 개인적인 성격보다는 사회적인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③ 꽃잎 (Petal, 1913)

이 작품은 말레비치가 꽃잎을 파란색과 회색으로 이루어진 간결하고 기하학적인 형태로 표현한 것입니다. 그는 꽃잎의 형태와 색채를 단순화하고 추상화하여 꽃잎의 본질적인 아름다움과 우아함을 드러냅니다. 그는 또한 꽃잎의 배치와 구성으로 화면의 리듬과 조화를 만들었습니다.

④ 철도원 (The Railwayman, 1913)

이 작품은 말레비치가 철도원의 몸과 옷을 파란색과 회색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형태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그는 철도원의 움직임과 힘을 강조하고, 배경과 대조되게 하여 철도원의 존재감을 부각했습니다. 그는 또한 철도원의 얼굴을 감추어 철도원의 개인적인 성격보다는 사회적인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2. 쉬프레마티즘
(Suprematism: 1915~1920년대 중반)

말레비치는 1915년부터 1920년대 중반까지 쉬프레마티즘이라는 추상미술 운동을 주도했습니다. 쉬프레마티즘은 미술에서 모든 관능과 묘사를 배제하고, 순수하며 지적인 구성 작품을 만들려는 시도였습니다. 말레비치는 기초 기하학적 형체 중에서도 순수하다고 생각된 것은 사각형이었습니다. 그는 흑백과 하얀 바탕 위에 하얀 그림을 그렸습니다. 질감으로만 배경과 구분되었습니다.
쉬프레마티즘은 말레비치가 퀴비즘과 입체주의에 영향을 받아 발전시킨 예술 운동이었습니다. 그는 기하학적인 도형과 단순한 색채로 구성된 추상적인 회화를 통해 순수한 감각과 정신적인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감각의 표현을 '절대’라고 선언하며, 자신의 작품들이 '비구상적 제작에 의한 새로운 리얼리즘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검은 정사각형> (Black Square, 1915), <절대주의 구상> (Suprematist Composition: White on White, 1918), <검은 원> (Black Circle, 1915), <검은 십자> (Black Cross, 1916) 등이 있습니다.

① 검은 정사각형
(Black Square, 1915)

이 작품은 말레비치가 쉬프레마티즘의 극단적인 예시로 제작한 것입니다. 검은색 정사각형 하나만으로 화면을 채운 이 작품은 모든 형태와 색채를 배제하고 순수한 감각과 정신적인 세계를 표현하고자 한 것입니다. 말레비치는 이 작품을 '제로지점'이라고 부르며, 미술에서의 새로운 시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② 절대주의 구상
(Suprematist Composition: White on White, 1918)

이 작품은 말레비치가 쉬프레마티즘의 극한에 도달한 것으로 평가되는 작품입니다. 하얀색 바탕에 거의 보이지 않는 하얀색 정사각형을 그린 이 작품은 미술에서의 모든 관능과 묘사를 거부하고, 순수한 감각과 정신적인 세계만을 남긴 것입니다. 말레비치는 이 작품을 통해 '무한성’과 '자유’를 표현하고자 했다고 밝혔습니다.

③ 검은 원
(Black Circle, 1915)

이 작품은 말레비치가 쉬프레마티즘의 기본 요소로 사용한 원을 화면 전체에 부각한 것입니다. 검은색 원 하나만으로 화면을 지배하는 이 작품은 모든 형태와 색채를 단순화하고 추상화하여 순수한 감각과 정신적인 세계를 표현하고자 한 것입니다. 말레비치는 원을 '완전성’과 '영원성’의 상징으로 보았습니다

④ 검은 십자 (Black Cross, 1916)

이 작품은 말레비치가 쉬프레마티즘의 기본 요소로 사용한 십자를 화면 전체에 부각한 것입니다. 검은색 십자 하나만으로 화면을 지배하는 이 작품은 모든 형태와 색채를 단순화하고 추상화하여 순수한 감각과 정신적인 세계를 표현하고자 한 것입니다. 말레비치는 십자를 '균형’과 '조화’의 상징으로 보았습니다.

 

3. 농민화
(Peasant Paintings: 1928~1932)

1928년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말레비치는 농민화를 그렸습니다. 이 시기에 쉬프레마티즘에서 벗어나 러시아의 전통적인 민족 예술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의 농민화는 색채와 형태가 단순화되고 기하학적인 요소가 들어간 특징이 있습니다. 쉬프레마티즘의 추상적인 형태와 농민들의 구체적인 형상을 결합하여 색다른 표현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농부와 여자> (Peasant Woman and Man, 1928), <농민 가족> (Peasant Family, 1930), <농부와 소> (Peasant and Cow, 1930) 등이 있습니다.

① 농부와 여자
(Peasant Woman and Man, 1928)

이 작품은 말레비치가 농부와 여자의 얼굴을 쉬프레마티슴의 기하학적인 형태로 표현한 것입니다. 그는 농민들의 특징과 감정을 간결하고 강렬하게 나타냈습니다. 그는 또한 농민들의 옷과 배경을 색채와 질감으로 구분하여 농민들의 문화와 환경을 보여주었습니다.

② 농민 가족
(Peasant Family, 1930)

이 작품은 말레비치가 농민 가족의 모습을 쉬프레마티슴의 기하학적인 형태로 표현한 것입니다. 그는 농민 가족의 관계와 역할을 강조하고, 가족의 일상과 행복을 드러냈습니다. 농민 가족의 옷과 배경을 색채와 질감으로 구분하여 농민들의 문화와 생활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③ 농부와 소
(Peasant and Cow, 1930)

이 작품은 말레비치가 농부와 소의 모습을 쉬프레마티슴의 기하학적인 형태로 표현한 것입니다. 그는 농부와 소의 움직임과 힘을 강조하고, 농부와 소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는 또한 농부와 소의 옷과 배경을 색채와 질감으로 구분하여 농부와 소의 문화와 환경을 보여주었습니다.

 

말레비치의 추상미술 이론과 실천

 

말레비치는 1915년부터 쉬프레마티즘이라는 추상미술 운동을 주도했습니다. 쉬프레마티즘은 미술에서 모든 관능과 묘사를 배제하고, 순수하며 지적인 구성 작품을 만들려는 시도였습니다. 말레비치는 기초 기하학적 형체 중에서도 순수하다고 생각된 것은 사각형이었습니다. 그는 흑백과 하얀 바탕 위에 하얀 그림을 그렸습니다. 질감으로만 배경과 구분되었습니다.
말레비치는 쉬프레마티즘의 극단적인 예시로 <검은 정사각형> (Black Square, 1915)을 제작했습니다. 검은색 정사각형 하나만으로 화면을 채운 이 작품은 모든 형태와 색채를 배제하고 순수한 감각과 정신적인 세계를 표현하고자 한 것입니다. 말레비치는 이 작품을 '제로지점’이라고 부르며, 미술에서의 새로운 시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말레비치는 쉬프레마티즘의 극한에 도달한 것으로 평가되는 <절대주의 구상> (Suprematist Composition: White on White, 1918)을 그렸습니다. 하얀색 바탕에 거의 보이지 않는 하얀색 정사각형을 그린 이 작품은 미술에서의 모든 관능과 묘사를 거부하고, 순수한 감각과 정신적인 세계만을 남긴 것입니다. 말레비치는 이 작품을 통해 '무한성’과 '자유’를 표현하고자 했다고 밝혔습니다.
말레비치의 추상미술 이론은 미술에서의 순수성과 절대성을 추구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작품들이 '비구상적 제작에 의한 새로운 리얼리즘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한 자신의 작품들을 '추상적인 비유’라고 부르며, 현실 세계와의 연관성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자신의 작품들을 통해 인간의 정신과 감정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말레비치의 예술적 영향

 

말레비치의 추상미술 실천은 미술사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는 추상미술의 선구자이자 혁신가로 평가되며,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주요 인물로 인정받았습니다. 그는 또한 신조형주의와 바우하우스 등에 영향을 주었으며, 자신의 작품들을 통해 미술에서의 새로운 가능성과 방법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주었습니다. 

 

1. 바실리 칸딘스키

칸딘스키는 말레비치와 함께 추상미술의 선구자로 평가되며, 본능적이고 표현적인 추상화를 추구했습니다. 칸딘스키는 말레비치와 친분이 있었으며, 말레비치가 구성주의 전람회에 참여할 때 칸딘스키도 함께 참여하였습니다. 칸딘스키는 말레비치의 쉬프레마다즘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말레비치도 칸딘스키의 작품에 대해 칭찬하였습니다.

 

2. 피트 몬드리안

몬드리안은 말레비치와 함께 기하학적 추상화를 추구한 예술가로, 신조형주의를 창시하였습니다. 몬드리안은 말레비치와 서로 영감을 주고받았으며, 말레비치가 <검은 정사각형>을 전시할 때 몬드리안도 <화면 구성 10번> (Composition No. 10)을 전시하였습니다. 몬드리안은 말레비치와 다르게 색채와 대칭성을 중요시하였으며, 말레비치 보다 더 엄격하고 규칙적인 구성법을 사용하였습니다.

 

3. 타틀린

타틀린은 말레비치와 함께 구성주의를 전개하고 추친한 예술가로, 조각과 설치미술에서 혁신적인 작업들을 수행하였습니다. 타틀린은 말레비치와 친분이 있었으며, 말레비치가 쉬프레마티즘이라는 용어를 만들 때 타틀린도 함께 참여하였습니다. 타틀린은 말레비치와 다르게 공간과 시간, 운동과 소리 등을 작업에 포함시켰으며, 관람자와 상호작용하는 예술을 지향하였습니다.

 

글 마무리

 

1928년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말레비치는 농민화를 그렸습니다. 이 시기에 쉬프레마티즘에서 벗어나 러시아의 전통적인 민족 예술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의 농민화는 색채와 형태가 단순화되고 기하학적인 요소가 들어간 특징이 있습니다. 쉬프레마티즘의 추상적인 형태와 농민들의 구체적인 형상을 결합하여 색다른 표현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 말레비치는 20세기 초반 러시아에서 활동한 화가로서, 추상미술의 선구자이자 혁신가로 평가됩니다. 그는 쉬프다즘이라는 추상미술 이론과 실천을 제시하여 미술에서의 순수성과 절대성을 추구하였습니다. 그는 자신의 작업들로 인해 러시아 아방가르드뿐만 아니라 유럽과 미국의 다양한 예술 운동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는 미술에서의 새로운 가능성과 방법을 제시하여 현대미술의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말레비치의 작품들은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그는 미술사에 남을 수 있는 위대한 화가로 기억될 것입니다.